


첫 번째에서 나는 소리는 노란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구멍이 뚫려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
이렇게 조밀하게 되어있을때 반대편에서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습니다.
두 번째에서 나는 소리는 첫번째꺼와 다르게 더 넓은 구멍을 함으로써 첫번쨰는 소리가 잘들리지 않는 공간이라면 두번째는 세세하게 붙어있는 부분과 조금 넓은 공간을 둠으로써 두가지의 다른 소리를 느낄 수있습니다. 세세한 부분은 소리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더 넓은 부분은
소리가 잘 통과해서 반대편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.이런것을 공간으로 사용할때에는 이 두 벽면을 놓고 그 사이에 사람들이 앉아서 이용하는 공간이나 얘기 하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세번째 그림의 소리는 높이가 다른것과 세밀하고 느슨한거에 따라서 소리가 다르게 되어있습니다.첫번째에 낮고 세세한 부분에서 나는 소리와 조금 느슨한 부분에서의 소리가 차이가 있습니다.이런 공간은 유닛과 유닛사이에 공용공간을 넣고 그 안에서 들리는 소리를 이용해 만들 수 있습니다
네번째 그림은 위에는 잔잔한 물이 흐르도록 되어있고 그 옆에는 폭포처럼 세찬 물줄기가 흐르도록 했습니다. 이때 이 공간안에 나는 소리가 다릅니다. 옆의 폭포가 흐르는 것 때문에 잔잔한 물은 시각적으로 공간을 꾸며주고 옆의 폭포가 흐르고 있어서 공간안의 소리가 꽉 찰 수 있도록 했습니다. 이 공간은 산책로로 쓸 수 있습니다.
다섯번째그림은 앞쪽에서 소리가 들어가면 뒷부분에 공간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 소리가 반사되 나오는것도 다르게 하였습니다. 이런 공간을 쓸수 있는 예로는 안쪽에 앉을 수 있는 공간을 하여서 큰 도로쪽에 시끄러운 소리는 벽을 통해 막고 앞쪽에는 소리가 들어옴으로써 자연의소리나 또는 앞쪽의 공용공간의 소리가 들리는 곳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즉.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
